낚시꾼 등처먹는 전라도 선장들~

신상품 소개


회원 랭킹


공지사항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 휴게실 ] 어찌 이런 일이

낚시꾼 등처먹는 전라도 선장들~

돌돔왕 12 5,374 2016.08.25 06:47
이러한 글을 읽노라니.
한 사람의 낚시꾼 의로서 서글픔이 앞서는것은 왜 일가요.
저도,
오랫동안 가까운 통영을 필두로 갯바위 낚시를 다니다 보니.
주변 지인들의 거문도의 돌돔이니.
추자도 가거도의 감성돔이니 하시는 경험담을 듣다보니
한번쯤은 가보고 싶은곳이 그곳 먼바다 낚시인들의 선망의 대상인
그곳 이었읍니다,
지금 현제는 선상 낚시나 하고 갯바위는 접은지가 20여년 됏네요.
나이가 들면서 갯바위에 하선하고 승선 하는데 문제가 있드라구여.
해서 다른 분들한테 피해를 주는것 같아서 포기 했읍니다,
(ㅋㅋ 해마다 다르 더라구요^^&^^)

그전엔,
고흥 녹동이다.
완도권 갯바위니 하면서 수많은 날을 쫒아 다녓지만
별 성과를 거두지를 못하자 원도권인 위 섬들이 선망의 대상이 됏지요!
그때만 해도,
교통편이 열악하고 자가용이 흔치 않앗던 때라서
낚시점 가이드의 인솔하에 관광차로 단체 모집해서 다녓의 니까요.
해서,
일부 시간과 금전의 여유가 있는 분들은 조과가 확실히 보장돼는 위 섬들로
낚시를 다니게 됏엇지요.

그땐,
너무 힘들엇지요,
가거도를 한번 가려면 자가용으로 목포에가서 흙산도로 갑니다,
흙산도에서 새마을호를 타고 태도 만재도를 거쳐서 가거도로 가자면
새벽 2시에 출발해서 목포에서 배타고 가거까지 가는데만
별탈 없을때에만 약 18시간을 가야 했읍니다,
가는중에 일기라도 바뀌거나 새마을호가 말썽을 부리면은
꼼짝없이 흙산도에 머물게 되었답니다,
만약에.
일기라도 급변하게 돼면은요,
이건뭐 한없이 흙산도에서 죽치게 되지요ㅣ
짧게는 2.3일 길게는 일주일을요 주의보 해제 시까지요,
목포까지 같다가 돌아 서기도 다반사 이구요.

그러다 보니.
긴급히 사선(어선배)을 알아 봅니다,
나쁜일기 속에서 출항 하려하니 승선비도 엄청 비쌉니다,
그때 당시에 일인당 약 30만원정도 햇으니까요,
(사실은 선장이 요구한게 아니고 낚시꾼들이 사람을 모아서 부탁을 하죠)
선장들도 망설입니다
일기가 너무 좋지가 않다 면서요,
손님들은 성화 입니다,
자 두사람이 더늘었으니 가자 하면서 종용을 하지요.
그러나 선장은 쉽게 결정을 못 내립니다,
다시 제안을 합니다,
손님을 더 추가 모집 하던지 돈을 더 주던지 할 터이니 가자구요,
선장도 고개를 끄떡입니다,
이건 돈에 힘이지요!
어차피 작업도 못 나가는데 위혐하긴 하지만 몇일분의 작업량을
채울수가 있으니까요,

이럴때에는,
선장이 나쁨니까 손님이 잘못 됏읍니까?
한가지 추가로 손님은 손님데로 사정이 있읍니다,
흙산에서 장기간 투숙하다보면 ㅎㅎ 낚시 경비가 흙산에서
바닭이 나 버리지요!
낚시대는 담구어 보지도 못하구서요.

그리하여,
어렵사리 가거도에 도착을 하지만 이배는 항내에 들어가질 못합니다,
저도 오랜 일이라서 왠지는 모르 겟구요,
이때에.
미리 연략됀 가거의 종선을 기다립니다,
이때는,
종선비를 내지를 않았엇지요.
왜냐면요,
종선이 바로 민박집 배이며 가거도 갯바위 출조 배엿거든요,
그렇게 어렵사리 들어 갓는데도 낚시를 못 합니다,
날씨가 풀리지를 않아서요,

이때부터,
일부 시간에 쫒기는분과 금전이 넉넉치 못한 분들의 불만이 쏟아집니다.
00놈의 선장00 흙산에서 여기까지 오는데 쩐을 너무 많이 받아서 00놈 이라는둥,
낚시도 못가는데 민박집이 비싸다는둥 대우가 나쁘다는둥 돈 밖에 모른다는둥
00놈의 선장 날씨가 이렇게 빨리 풀리지 않을것 같으면 왜 비싸게 돈받고
대려다 줫느냐는둥
모든게 불만 입니다,
이분들은,
정기선 새마을호가 들어오면 나가야 합 분들입니다,
이 때에도 ㅇㅇ도 ㅇㅇ들이 들어 갑니다,

이때에도,
어김없이 99% 경상도 낚시인 이었읍니다,
이때엔 누가 나쁜 건가요?
종선배 이야기는 다음에 올려 보겠읍니다!
0

좋은 글이라고 생각되시면 "추천(좋아요)"을 눌러주세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12 댓글
두럭여기둥바위 16-08-25 07:16 0  
흙산 X ---->> 흑산 O

낚시를 안했으면 안했지 웃돈주고 낚시해본적이 없는데 항시 웃돈이 문제입니다
날씨가 좋든안좋든 그많은 낚시인들이 들어와서
웃돈을줘가면서까지 포인트 차지하고 낚시를 하더라고요. 멀리서와서 낚시를 꼭해야하고
고기도 잡아가고싶은맘은 이해하지만 정도가 심한적도 많았었습니다
선장들인심...동네인심.... 다버린다고 여수꾼들의 불만이 상당히 많았었지요
그렇게 돈에 길들여지며 오랜세월지나다보니
돈맛을 알아버린 선장들은 낚시꾼들이 호구로보이고 돈만 보이는거지요.
아물론 그렇지 않은 선장들도 많습니다
이러한 내용들을 사실 어젯밤쓸려고했는데 술먹느라 못쓰고
지금쓸까말까 머릿속에 옛날일들 그리다가
돌돔왕님글보고 저는 쓰는거 그만접을랍니다
돌돔왕 16-08-25 08:27 0  
아~하,
죄송 합니다,
흙산이 아니고 흑산 이엇군요!
지적 감사 합니다,
나이가 쪼메 들어 독수리 타법에 화면을 보면서 치다보니
쪼메 많이 힘들데요,
올해부터는 낚시가 생활 체육에서 제외가돼고,
바둑이 생활 체육의로 선정 됀걸로 알고 있읍니다,
왜 일가요,
울 낚시인이나 업주 선주 낚시에 관련됀 모든 사람들은 각성해야
돼지 않을런지요.
두럭여기둥바위 16-08-25 08:39 0  
아닙니다 죄송할거까지야 있겠습니까
흑산도는 고유대명사라 바로잡았을뿐입니다
그외 다른거는 오타도날수도있고
잘못쓸수도있고 알아만 들으면 되는거죠
이런 시리즈 연재물 좋아합니다
앞으로 옛날이야기 많이해주세요
석윤 16-08-25 08:46 0  
예전에는 원거리 낚시가기 참 힘들었나봅니다
도라 16-08-25 08:58 0  
아이고~~~
진짜 반가운 내용이 아닐 수 없음입니다.
독수리 타법...힘드셨을텐데도 불구하고 장문의 글을 올려주시는군요.
글을 읽다 보니.....약간의 옛 향수 비스무리도 좀 느껴지는듯요.....ㅎㅎㅎ
꾼이 더냐? 선장이더냐? 란 그 명제에 대한 해답을 익히 잘 알고 있을
경험 오랜 낚시인들은 너무도 잘 알고 계시겠지요. 극 공감하는 바가 큽니다.
종선비의 기원......ㅋㅋㅋ........기대됩니다.....
그 스또리의 전개가 마치....스크린을 겹쳐 흐르는 그 무엇처럼 연상이 되어집니다.
ㅎㅎㅎㅎ
꼭 좀 올려 주십시오.......아주 그냥 리얼하게요..... 
또 장문이어야 할텐데.....수고 좀 해주십시오  ^^*
사기꾼킬러 16-08-25 10:18 0  
흙탕물을 건너니 맑은 샘물이 나오는군요. 잘읽고갑니다.
원줄쫙 16-08-25 16:37 0  
저도약20녀년전에  출조방에서 관광버스타고 출조간 기억이 세록세록 뜨오르네요, 그시절에  황제도에낚시갈때 입어료를 지불한걸로기억합니다, 지금은 경상권에서만 낚시를 하다보니 모르겟네요,
글잘읽었습니다,
돌돔왕 16-08-26 19:10 0  
《Re》두럭여기둥바위 님 ,
감사 합니다,
오늘은 삼천포에 문어 사냥을 하고 왓습니다!
그럭저럭,
열 댓마리 햇습니다,
조만간 올리도록 하겟습니다,
싸울아비도 16-08-27 13:01 0  
태도들어가는객선이 이틀에 한번뜨서 철수일정에 주의보라도 터지게되면 머 넉넉히 보름정도 일정잡고 갈시기에 다니긴했는데..  제가 다닐때는 서울분 20%  그외전라포함30%  경상도 50프로 정도 된듯햇는데  경상도꾼들 목소리가 크긴했지요.  사랑방에서 뜨드는 이야기들어보면 다른분들은 낚시테크닉 조과등을 주로 자랑삼아 이야기했고 경상도분들은 아예 포인트 개발이야기 가 주였던기억이..
돌돔왕 16-08-27 18:17 0  
《Re》싸울아비도 님 ,예 맞습니다.
하지만 그때는 한참후의 일이구요.
담 탄에 그 이야기가 나올깁니다!
경상도 분들은 일찍부터 다니다 보니까
다른지역 분들보다 훨씬 포인트 보는 시야가 당연 넓엇 겟지요!^&^
대한민국낚시인 16-09-22 00:19 0  
어김없이 99% 경상도 낚시인 이었읍니다..라는 글만 뻈으면 더 믿음이 가는 글이었을텐데요....
 
포토 제목
 


인낚 최신글


인낚 최신댓글


온라인 문의 안내


월~금 : 9:00 ~ 18:00
토/일/공휴일 휴무
점심시간 : 12:00 ~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