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력 조절핀은 5B외에도 3B, B 총 3종류가 있어 0.5호 뿐만 아니라
3B 나 B 단위로 부력 조절이 가능한 편리성이 있습니다..
![]() |
![]() |
![]() |
흘림낚시는 크게 전유동기법과 반유동기법으로 대별할 수 있고 겨울철 바닥층에 머무는 감성돔낚시는 반유동기법이 더 많이 사용하는 듯 합니다..
바다의 낚시상황은 조류, 바람, 수심 등이 급변하고 상황변화에 따른 적정채비로 변경의 필요성이 있다 하겠습니다..
기존의 찌 체계에서 채비변경을 위해서는 원줄을 자르고 찌와 수중찌를 다시 선정하여 채비를 재구성함에 따른 번거러움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은 불가피 하죠..
팔방찌는 구멍찌에 부력과 경사각도를 낚시인 스스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DIY 개념을 도입하고 있어 원줄을 자르지 않아도 채비변경이 용이하고 호수별 많은 구멍찌와 수중찌를 구매하고 휴대할 필요성이 없는 잇점이 있습니다.
원줄 자르지 않고 반유동낚시를 할 수 있는 팔방찌 채비운용법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2호찌 세트를 이용한 반유동채비의 운용사례
< 1호찌 채비 >
▷ 어신찌(1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하부 수중찌를 -1호로 만들어서 사용
- 2호찌 세트의 기준 핀은 5B(0.5호) 이므로 상부 어신찌와 하부 수중찌에 각각 핀을 2개씩 부착하면 됨.
- 수심,10~15m, 공략거리 20~30m 내외 이거나 야간 낚시채비로 적당하며 파도나 바람이 있을 경우에는 8~10m 내외
수심에서도 유용하며 바람과 파고의 강약에 따라 핀을 증감하여 사용 .
- 1호찌 세트외의 차별성 : 2호찌 세트는 1호찌 세트보다 크고 자중이 많이 나가므로 거친바다 상황에 대처능력이 우수함
- 반유동 전용으로 사용코자 할 경우 하부찌는 소형보다 극소형찌가 더욱 유용한 경우가 많음
(극소형찌의 부력범위는 ↑G~0~↓1 까지 표기되어 있으나 침력을 -2호까지 운용할 수 있음)
- 대형찌는 표준자중이 18g(핀 장착시 25g 이상)을 상회하므로 원투성이 좋으며 야간낚시에 유용
- 야간 채비의 발광체는 4mm 케미컬라이트, 전자알케미 등을 공히 사용할 수 있으며 최대 4개까지 부착이 가능하고
매입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채비엉킴을 방지할 수 있음.
- 위 사례는 기본형을 설명하였으나 엉킴방지형 팔방찌를 사용하면 찌멈춤 구슬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채비를 할 수 있어
줄내림이 불편함이 없어 밤낚시 등에 편리함.
<2 호찌 채비 >
▷ 위 사진은 팔방찌 대형의 고유부력 즉 2호를 가지는 최대부력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2호 부력에 대응키 위해서는
하부수중찌가 -2호를 가질 수 있게 부력조절 핀 4개를 하부찌에 창착함
- 수심 15~20m 내외로 깊거나 바람과 파도가 강할 경우 잡어층을 피하여 채비를 빠르게 내리고자 할 경우 등에 사용
- 조류가 강하거나 빠를 채비 안착을 위해서는 소형찌 보다 체적이 적은 극소형찌와의 조합이 바람직함
< 1.5호 찌 채비 >
- 어신찌(1.5호)
- 수중찌(-1.5호)
< 제로찌 채비 >
- 어신찌(제로찌)
- 수중찌(잠수찌 0)
- 어신찌가 제로부력으로 운용될 경우 이론적으로 하부 수중찌에는 침력이 없어야 하겠으나 팔방찌채비의 소형찌는
B 부력을 가지고 있어 기본부력의 상쇄할 수 있는 침력을 추가하여야하므로 잠수 0 부력이라고 표기하였음
- 상부찌를 제로 부력으로 운용시에는 조류를 받기위함 등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하부채비에는 아무것도 부착하지
않음이 바람직 하다고 봄.
< 0.5호찌 채비 >
- 어신찌(0.5호)
- 수중찌(-0.5호)
위 사례는 2호찌의 용례로 바람이나 수심, 조류 등 바다상황이 양호하다면 1호찌 세트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최대 고유부력이 1호찌를 이용한 팔방찌 활용사례는 다음기회에 소개하여 드리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사직 34년차를 대과없이 마무리하고 너무 너무 좋와하는 낚시에 매진할려고 합니다.. 그리고 거처도 바다와 가까운 보물섬 남해에 자리잡았습니다. 바다와 가까운 해안지방 근무시 낚시채비연구와 소품을 만들어 보았으며 8년차의 각고 끝에 팔방찌를 선보이고 낚시박람회에 출품하는 영광을 얻었습니다... 열심히 연구하는 낚시인이 되겠습니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