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릴의 가공성과 냉동보관에 대한 허와 실

낚시광장 > 낚시토론 > 밑밥크릴 가격인상

▶토론주제 : 밑밥크릴 가격 인상 관련
▶게시판 성격과 맞지않는 글은 예고없이 삭제 또는 이동될 수 있습니다.

크릴의 가공성과 냉동보관에 대한 허와 실

G 7 5,973 2005.05.01 13:48
크릴은 크기4CM, 무게1G 정도인 동물성 플랑크톤으로 일반새우와 모양이 흡사한 갑각류로 식용으로는 곧바로 사용은 곤란 함.

크릴에 대한 성분으로 풍부한 단백질과 소화효소, 필수아미노산 을 다량함유하며 오메가3라는 인체에 유용한 불포화지방산을 갖는다.

문제점 크릴의 껍질에는불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또한 크릴에는 자가분해효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세탁세제 원료 사용 가능 함) , 부동액의 원료 (영하 약23도까지 얼지않는 부동액의 원료)로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낚시용및 기타크릴제조업체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불소와 자가분해효소를 다량 함유한 갑각류 크릴 등은 보관이 쉽지 않으며 설령 냉동보관한다 하여도 보관 기간이 길면 분해효소와 불소화합물에 의해 쉽게 크릴머리부분이 쉬이 검게 변하고 곧바로 분해효소에 의해 조금씩 분해 과정을 따른다. 결국 분해되면 액상의 아미노산 화합물이 되고 고체 크릴은 사라진다.

따라서 저온 냉동 보관을 하게 되는 데 그러하면 분해효소의 효소작용은 지연될수는 있으나 공기 중에 노출된 습식 크릴은 유리불소에 의한 산화 작용으로 반상치와 같이 크릴머리(최다 불소함유된 부위 임)부터 검게변색된다.

그리고 크릴자체는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부동액의 원료로 사용할 수있을 만큼 냉동이 어렵다---물 크릴(부동액 세척, 불소처리약품처리 후 탈수 아니하면) 제조가 당연함.

사정이 이러한 바 시중에 시판되는 낚시용 냉동크릴은 당연히 불소제거와 효소분해방지 처리를 하게 되는 데 본인이 요즘 시판되는 크릴을 사용해 본 결과로는 지난 10년전보다 해동 후 분해과정이 길고, 변색도 훨씬 더 적음을 볼때 첨가 약품을 처리하여 출고 됨은 자명하다 할 수 있슴다.

그리고 이러한 약품이 관상용 어류에는 치명적입니다 .(필요하신분은 " 의약품의 치사량 테스트 편 참조")

불소제거나 불소화학반응 억제용 약품에 대해서는 여기서 언급을 아니하겠슴다.
노출시키면 곧바로 제조사에서 도용하여 사용할 우려가 있어서 그리고 갈챠 줘도 크릴가격 인하가 아니라 곧바로 인상하려 할것이 자명하므로" 뭐 최고급 ## 제품이라 뭐라나 하면서 비싸게 받겠지요.

끝으로 지난번 인락에서 크릴사용하고나면 엄지와 검지 손가락에 붉어지고 물집이 생기는 이유를 제시하신분은 크릴의 약품처리가 원인과 또한 편으로는오래되어 분해효소가 완존히 세탁세제 수준으로 전이된 크릴과 약한 습식상태의 피부와 만남이 원인 일 수도 있슴다.

두서없이 횡설수설 했슴다.


2

좋은 글이라고 생각되시면 "추천(좋아요)"을 눌러주세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7 댓글
G 빠닥이 05-05-02 12:52
글을 보니 도움이 되었읍니다
낚시를 즐기다보니 부수적으로 아는것도 늘어가는군요
예전에 티브이 에서 방영된내용(부동액 성질을 이용하기위해 연구하는)도
다시금 기억납니다
세이브님
내친김에 한가지 더 여쭈어 보겠읍니다
크릴을 대치할수있는 제품은 없을까요
밑밥의 기능에 충실하면서 사용하기에 편안한 그런 것말입니다
오징어내장을 비벼봤는데.... 냄새가 ,,,, 장난아니었구요
미끼와 동조(?)는 사실 안되겠더라구요
그냥 밑밥이면 몰라도....
곤쟁이들로는 어떨지 여쭤 봅니다
G 피노키오 05-05-02 13:28
세이브님,
크릴에 대해서 해박한 지식을 올려 주셨네요.
유용한 정보로써 감사 드립니다.

여러 낚시인들이 궁금해 하는것이 "과연 크릴 제조과정에서
어떤 첨가제가 가미가 되고 있고,
그것이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것 인가 이며,
또한 인체에는 얼마만큼 해를 주고 있는지" 일겁니다.

피부에만 영향을 주는것인지 아니면 피부를 통과하여 내부에
축척이 되는 것인지,
입에 묻었을때... 아니면 눈에 물질이 들어 갔을때..
(크릴 만지고 눈을 비볐을때.. 가능성이 있고, 특히 눈동자는 매우 예민함)
어떤 영향이 있는지가 궁금할 것입니다.

우리가 소비자인데..소비자가 아무것도 모르고 그냥 사용한다는것은
매우 위험하고 잘못된 상거래라고 봐야 되겠지요.

분명하게 정부 부처에서는 우리가 안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 책임이 있습니다.

이것과 관련하여 저는 이의제기를 할 예정입니다.
조금만 지켜봐 주시구요.

다시금 좋은글 올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종종 글.. 기대 하겠습니다.
G 칼있어 마 05-05-02 14:34
좋은 글 감사합니다. 근데 손에 껍질 벗겨지고 부작용 생긴다는 애기는 대개 미끼크릴을 많이 만진 후 일어나는 증상이기에 분해효소가 오래되어 나타나는 증상이라고 보긴 어려운것 같군요. 어복충만 맨날행복!
G 나형아빠 05-05-02 16:24
인성에 대해서 화가 나는 군요.....
지금 크릴 파동에 대해서는 인낚에서 다루고 있는 사항.....
근데,인성은 모 잡지사를 통에 자사의 해명을 하고 있다고 하니,,, 원~
이것은 낚시인을 조롱하는 행위로 여겨집니다.
정말 인성에서 떳떳하다면 인낚에서 해명을 해야 된다고 여겨짐니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한글 올립니다.



G 세이브 05-05-04 10:27
피노키오님 화이팅

그리고 본인의 도움이 필요하다면 아는데까지 지원하겠습니다.
그리고 크릴에 대한 첨가물 확인 위한 방법으로 크릴을 제조사 종류별로 샘플을 떠서 재 증류수에 고농도로 녹여 필터링하여 PH 테스트 후 AA 나 ICP등으로 무기화합물분석을 하고 유기화합물은 GC나 별도로 음용수 수질 분석을 이용하여 성분 확인 후 이들 자료를 역산하면 크릴에 첨가된 화학물질알 수 있슴다.
그리고 현 크릴제조사가 끝까지 인락조사들을 우롱하는 사태에 직면하면 그때는 동참하여 막 갈려고 생각함니다.
G 피노키오 05-05-04 13:52
세이브님, 감사 드립니다.

제가 지금 막 칼을(무시도 못 자르는 무딘칼 일지라도..) 빼 들었습니다.
다음글 읽어 보시면 해양 수산부에 질문한 답변이 있습니다.

한번 해수부 홈피 들어가 보시면 아실것입니다.

제가 부족하여 직접 성분분석할 의향은 현재는 없구요.
분명히 정부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해서 밝히고,
환경 보호와, 인체 보호(소비자 보호)등에 대한
분명한 기준치 설정과
지시.경고 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힘이 닿는 한 합니다.

많은 도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여기는 창원입니다.

그리고
해수부 답변해 주신 담당자한테는 별도로 개인 메일로
잘못 이해한 부분을 설명하고 재차 답변을 요구 해 놓은 상태입니다.
G 칼있어 마 05-05-12 14:45
피노키오님! 잘 하십니다! 국사모 운영진 법무분과위원 다우십니다. 함께 노력 해서 좋은 결과 이루어 내도록 하입시더!
어복충만 맨날행복!
"신발만한 볼락한수 열감생이 안부럽다!"
"산란감시 방생하면 어복충만 기록갱신!"
-국사모 홍보대사 칼있어마의 5월 인낚캠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