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부제 미끼와 파우더에 대한..

신상품 소개


회원 랭킹


공지사항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낚시광장 > 낚시토론 > 밑밥크릴 가격인상

▶토론주제 : 밑밥크릴 가격 인상 관련
▶게시판 성격과 맞지않는 글은 예고없이 삭제 또는 이동될 수 있습니다.

방부제 미끼와 파우더에 대한..

G 5 5,559 2005.03.09 11:56
크릴에 방부제를 섞어 판매한적이 어느 때 인가
잘을 모르지만 제 생각으론 한 10년전 쯤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그 전에는 크릴이 색이 변했습니다 또 금방 부패해서 집에 가져와
그 다음날 쓰기는 조금 곤란했었으니까요 그 때 제 생각에는 이것이
안좋은 크릴이라 생각했습니다
언제부턴가 변질이 안되는 크릴등장으로 많은 낚시꾼들로부터
사랑을 받아온건 사실인데...
그 부작용이 날이가면 갈수록 “엄청 심각하기에 글 한번 끄적입니다.
아마 이건 크릴을 가공해서 판매하는 공장관계자도 알고있을겁니다.
"물론 파우다도 마찮가지 입니다"

ㅡ방부제크릴 부작용의 고찰ㅡ
1 환경오염<ㅡ말할 것도 없겠죠
2 물고기의 기형화
3 어패류의 체내독성 축적
4 물고기의 산란미숙<ㅡ아예 못하는 경우가 발생 산란을 하더래도 부화율이 낮고
그 부화한 물고기는 2차적으로 알을 못 낳는 경우발생 결국 물고기 계체수 줄어듬
세월이 지나면 지날수록 결국 우리바다엔 물고기 사라집니다
5 그 물고기를 인간이 먹을시 똑같은 결과초례

또 그 후의 폐해는 아무도 모릅니다.

우리 낚시인들도 이런 피해를 알고 크릴이 색이 안 변한다고 좋은 크릴이라 생각지 마시고
크릴을 가공하는 공장에서도 미례를 생각해서 크릴에 방부제를 섞는일을 삼가해주셨슴 합니다.
훗날에 물에 물고기가 없으면
결국 제일 먼저 피혜를 보는곳은 낚시용 미끼를 가공하는 회사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사람 모두의 피해입니다.

낚시미끼용 크릴이나 파우다 에 관련된 회사관계자 여러분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방부제 없는 크릴이나 파우다를 만들어 판매하십시요
방부제가 법"기준치라고 하더래도 스스로 미례를 보는 안목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드는군요 "누이좋고 매부좋고"

1

좋은 글이라고 생각되시면 "추천(좋아요)"을 눌러주세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5 댓글
G 민물 뿌구리 05-03-09 12:38
민물에서 바다로 간 왕초보 임니다 ..
님의 글에 적극적으로 동감임니다 ..
카페 관리를 하신븐께서 적극적으로 인낚여러분께 홍보를 하여주시면
큰 도움이 돼리라 생각함니다..
G 엘븐 05-03-09 14:12
민물님 감사합니다.
"미끼용 방부제에대한 고찰" 이런글이 "이슈"가 돼고 고발성 글이 올라올 때
결국 환경문제로 국면하게돼고 언젠가는 우리나라 낚시업계 뿐만아니라 환경을 생각지 않고 돈벌이에만 혈안이 돼있는 기업이나 업주는 엄격한 법적인 처벌을 받아야 된다고 생각이 듭니다.
G 칼있어 마 05-03-14 10:32
옳으신 말씀, 우리 낚시인이 압력을 행사해서 하루 빨리 개선해야 합니다.
어복충만 맨날행복! ^_^
G 모난돌2 05-04-09 20:59
엘븐님 정말감또감사합니다.저는 한때는 낚시꾼이였지만 지금은 낚시를 안하고있습니다.왜냐고요?제가 생각하기에 약 10년전에는 어디를 가도 고기가 많았습니다.까지메기.도다리.감생이.뽈락.벵에등등 많은잡어가.먼거 리
갯바위가 아니고 가까운 방파제에도 수두룩 햇습니다.그런데 지금은 하나도없습니다.그래서 낚시를 안합니다 먼거리는 돈이많이들어서... 한편 그원인을 저는 그옛날부터 방부제 덩어리인 크릴때문이라고 생각한 사람중에 한사람입니다.제가 알기론 일산크릴은 방부제가 3%이고 국산크릴(인0 동0)은 방부제가 10%라고합니다.(실제확인안됨)그것도 부족해 중량도 일산크릴은 26KG이고(한박스) 국산은 약22KG입니다 (실제확인햇음) 또웃기는 것은 월간바다낚씨 4월호 153페이지를 보면 인성크릴의(답답합니다)라는 제목으로 하소연 한것이 있습니다 인성크릴이 팔리지 않아서 답답한마음은 이해가 가나 호소문 내용이 소비자를 무지 몽매한 사람들로 착각을 한것같습니다.방부제를 넣었다는 것인지 아니면 안넣었다는것인지가 애매하고 변색이안되게 가공을(변형.자숙)했다는것인지 안했는것인지 웃음만 나옵니다.방부제를 넣었다면 몇프로를 넣었다는것인지 소비자에게 정확하게 호소해야 되지않을까 생각합니다.제가 아는 상식으로는 같은계절(월)에 포획한 크릴중에서 인0.크릴이 제일 변색이 안되고(녹혀서 15일두어도 변색안됨)다음은 동0.크릴이며 제일 변색이 잘되는 크릴이 일산크릴로 알고있습니다.앞으로는 우리바다를 살릴려면 일산크릴을 사용해야 데나요? 그것이 정부에 원조받아서 포획한 국산크릴입니까?애국적 차원에서 우리크릴 생산업자들 무방부제로 냉동하면 안됩니까?듣기론 동0크릴에서는 무방부제로 국내로 들여와서 식용죽도 개발했다는데 설마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을수가 없다고 변명하지는 안겠죠 각성합시다. 크릴생산 업자들에게.........





'













G 골드메카 05-06-18 19:23
정말 동감이고요 바다을생각 하면 우리낚시인이 앞장섭시다
 
포토 제목
 

인낚 최신글


인낚 최신댓글


온라인 문의 안내


월~금 : 9:00 ~ 18:00
토/일/공휴일 휴무
점심시간 : 12:00 ~ 1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