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서도(볼락개) 벵에돔 낚시

낚시인 > 조행기

여서도(볼락개) 벵에돔 낚시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5641_6538.jpg

안녕하세요, 울보미소입니다. 


수온이 조금씩 올라가면서 벵에돔들의 소식이 들리기 시작하네요. 예년에 비해 한 달 정도 늦어지고 있다는 낚시인들의 의견에 저도 동의를 합니다. 그래도 2~3주 정도 지나면 원래의 수온에 수렴하면서 호조황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르다는 걸 잘 알면서도 모든 낚시인들처럼 자기가 출조하는 날 벵에돔 갯바위 조황이 터지는 그날이 되길 바라며 여서도에 다녀왔습니다. 굳이 조황이 아니더라도 오랜만에 여명 형님과 동출하는 날이라 완도로 향하는 길이 즐거웠습니다 ^^"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5812_259.jpg

지금껏 낚시를 다니면서 예약을 어기거나, 출항 시간에 늦은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출조와 이번 출조에서 도착 40분을 남기고 전화를 받았네요. 여서도로 향하는 두 선사의 출항 시간이 비슷하다는 것도 한몫을 한 것 같습니다 ^^;;


최소한 출항 30분 전에 낚시점에 도착한다는 개인 기준을 조금 앞당겨야겠네요. 앞으로는 40분 전에 도착할 예정입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5901_3882.jpg

대부분 완도항 두바이 모텔 앞에서 뉴페이스 호를 탔지만, 이날처럼 행사가 있을 때는 "주도" 앞에서 탑승합니다. 몇 번 와본 적이 있는 곳임에도, 어둡고 오랜만에 오는 길이라 여명 형님의 안내를 받아야 했습니다. 


돌돔을 대상어로 하는 단체 낚시인들이 있어서 출조 인원에 비해 짐이 많은 편이었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5970_4632.jpg

돌돔 낚시 장비들이 무겁고, 낚시인들의 연령대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하선할 때 짐을 올려주다 보니 정작 저는 갯바위에 내려서 조금 쉬어야 했습니다 ^^;;


이날 저희가 하선한 곳은 여서도 중에서도 미끄럽기로 이름난 "볼락개"였습니다. 한겨울에도 벵에돔 낚시가 될 정도로 개체 수가 많은 곳이면서, 물이 빠지면 뜰채가 수면에 닿지 않을 정도로 자리가 높은 곳이기도 합니다. 


https://blog.naver.com/williams0908/222848326126 / 2022. 8. 3.~4. 여서도(볼락개) 벵에돔 낚시 


3년 전 여명 형님을 따라 처음 여서도 갯바위에 하선했던 곳이 바로 이곳 "볼락개"였습니다. 그 당시에는 비박 낚시가 가능해서 쉬엄쉬엄해도 마릿수 벵에돔을 낚을 수 있었는데......그때가 그립네요. 밤이 늦도록 전자찌를 가져가던 긴꼬리 벵에돔 밤낚시도 정말 짜릿했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6227_5236.jpg

이날 처음으로 발상 양수기를 갯바위에서 사용했습니다. 


간조를 지나 초들물이 진행 중인 볼락개 갯바위는 정말 높았습니다. 발을 헛디딘다면 바로 6~7m 아래 수면으로 떨어질 수 있는 위험한 시간대였습니다. 


뜰채가 안 닿는 건 고기를 걸고 나서 생각하기로 하고, 우선 양수기의 LED 조명을 밝혀 동선을 확보했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6313_7183.jpg

밑밥을 만들기 전에 조심조심 발걸음을 옮기며 살림통에 물을 받았습니다. 양수기를 조절하는 단계 중 가장 강한 3단계로 작동을 했습니다. 7m 정도 되는 높이임에도 물이 잘 올라오네요. 


마중물 펌프에 적응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렸습니다. 어두워서 물이 올라오는 게 보이지 않아 조금 헤맸네요. 몇 번 해보니 물이 올라오면서 압력이 차는 느낌을 알게 되었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6458_2983.jpg

이날 밑밥은 크릴 4장에 황금비율 긴꼬리 벵에돔 집어제 1봉, 오로라 벵에돔 집어제(황색) 1봉, 그리고 황금비율 감성돔 집어제 1/2봉을 섞었습니다. 


볼락개는 여서도 갯바위 중에서도 수심이 있는 편이고, 아직 수온이 14℃ 언저리를 맴돌고 있는 시기라는 것을 고려했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6541_3379.jpg

밑밥을 준비하고 나니 살림통 절반 이상이 차 있었습니다. 밤낚시에 사용하기엔 충분한 양이라고 생각해 양수기를 끄고, 낚싯대를 꺼내 채비를 준비했습니다. 


아마 채비를 모두 마칠 때까지 놔뒀다면 살림통이 넘쳤을 듯합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6632_7716.jpg

역시 볼락개는 볼락개입니다 ^^"


예상했던 대로 통통한 볼락 한 마리가 이내 크릴을 물고 올라왔습니다. 갯바위 가장자리에 넣어주던 채비를 조류 소통이 그나마 좋아 보이는 먼 곳에 던졌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6686_4856.jpg

가까운 곳, 먼 곳 상관없이 갯바위 주변을 볼락이 가득 메운 느낌이었습니다. 예전에는 일부러 청갯지렁이를 준비해서 볼락을 재밌게 낚은 적도 있었는데, 요즘에는 감흥이 조금 줄었네요. 


지금 시기에 벵에돔이 새벽 시간대 잘 안 나오는 점도 밤낚시 기대감을 낮추게 하는 이유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출항/철수 시간을 조금씩 늦추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물론 모든 낚시인의 요구를 다 맞추기는 어렵겠지요.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6817_3332.jpg

새벽 시간대 엄청난 해무가 몰려들어 낚시를 어렵게 했습니다. 시야가 뿌옇게 되면서 앞이 잘 안 보였네요. 낚싯대에 물이 흐를 정도였습니다. 모자에 부착한 캡라이트에 물이 맺혀 뚝뚝 떨어지는 건 처음 경험했습니다. 


바람이 불어올 때면 젖은 낚시복 사이로 차가운 기운이 들어왔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6979_7961.jpg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6991_8767.jpg


해가 떠오르고 나서도 해무는 한참을 머물렀습니다. 바람이 약해 안개의 소산이 늦어지기도 했고요. 예전에 말씀드린 대로 이류무인 해무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온을 의미하기에 반갑지 않은 현상입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053_0994.jpg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064_3643.jpg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074_1575.jpg


수온이 14℃를 넘기고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 점이 아쉬웠습니다. 낚시를 다녀온 지 열흘이 지났지만, 오늘 확인한 수온도 14℃ 언저리를 맴돌고 있네요. 


확실히 올해의 벵에돔 낚시는 많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170_2173.jpg

낚시인들이 시간을 내서 원도권으로 나오는 이유 중 하나는 주변의 영향 없이 조금 더 자신의 낚시를 할 수 있다는 점이겠지요. 저 또한 그렇습니다. 


저의 바람과는 달리 작업 어선들이 수시로 갯바위 주변을 휘젓고 다녔습니다. 새벽부터 넣어놓은 밑밥을 생각하면 참 아쉬운 장면이었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300_6692.jpg

이렇게 되면 한동안은 멀리 노리는 게 의미가 없어집니다. 별수 없이 갯바위 주변으로 채비를 던지면 이렇게 볼락들이 물고 늘어졌습니다. 


누가 지었는지는 몰라도 볼락개, 정말 이름 잘 지었습니다 ^^"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411_553.jpg

어선과 안개가 물러가고 한참이 지나서야 이날 첫 벵에돔의 입질이 들어왔습니다. 찌가 가라앉고 한참을 더 기다렸으니 거의 바닥에서 물고 올라왔다는 편이 맞겠지요. 원줄을 지그시 당겨갔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467_722.jpg

이어서 원줄을 세차게 가져가는 입질이 들어왔습니다. 


긴꼬리 벵에돔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신중하게 갯바위로 올렸더니 3 짜 후반 정도의 돌돔이었습니다;; 몇 마리 보이지도 않던 잡어들이 갯바위 바깥으로 못 나간 것이 이 녀석 때문이었나 보네요. 여러모로 고마운 녀석이었습니다 ^^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554_0532.jpg

드문드문 벵에돔의 입질이 들어왔습니다. 


6월쯤이라면 수면 가까이에서 한결 쉬운 낚시가 될 텐데 바닥층에서 입질이 들어오다 보니 마릿수 낚시를 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609_6007.jpg

오른쪽에서 낚시를 하시던 여명 형님의 상황도 비슷했습니다. 


입질이 들어와도 워낙 바닥과 가까운 곳이니 이내 대상어가 갯바위로 파고드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더구나 형님이 서 있던 오른쪽은 여가 많은 곳이라 박혀버린 경우가 더 많았네요 ㅜㅠ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678_1421.jpg

수온이 상승하면서 녹은 몰이 갯바위로 몰려들 때는 잠시 낚시를 쉬어야 했습니다. 이럴 때 작업을 하는 어선이 같이 들어온 것은 어찌 보면 다행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726_2178.jpg

낚싯대를 꽂아놓고 형님께서 가져오신 크림빵과 두유로 배를 채웠습니다. 입 주위에 하얀 크림을 묻힌 채 뭐가 그렇게 기분이 좋았는지 모르겠네요. 


형님과 함께 갯바위에 서면 정말 마음이 편하다는 게 그 이유겠지요.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800_1526.jpg

이날 마지막이자 세 번째 벵에돔 또한 바닥에서 입질이 들어왔네요. 이때가 9시 반 정도였습니다. 결국 두 시간 동안은 벵에돔 얼굴을 구경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얼굴을 보았던 벵에돔 모두 일반 벵에돔이었습니다. 긴꼬리 벵에돔을 보려면 아직 시간이 필요해 보였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867_3905.jpg

미끼가 살아서 바닥까지 내려갔는데 용치놀래기가 올라온다는 건 벵에돔이 갯바위 주변에 없다는 얘기겠지요. 낚시 후반부에는 볼락, 베도라치 등 바닥권 잡어들을 제외하면 잡어들 구경도 하기 힘든 시간이었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7951_9915.jpg

저 멀리 보이는 큰 새 한 마리의 사정도 비슷해 보였습니다. 고기를 못 잡고 있던 건 저 새나, 저나 똑같았네요. 둘 다 바다만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8027_4315.jpg

볼락개 갯바위의 생김새는 볼 때마다 신기합니다. 돌이 무너진 모습을 보면 살짝 겁이 나기도 하고요. 


3년 전 처음 왔을 때는 네 발로 겨우겨우 기어다니거나, 여명 형님이 준비해 준 수건에 의지해야 했습니다. 그날 이후로 릿지화를 샀던 것 같아요. '많이 신을 수 있을까' 걱정하기도 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이미 본전을 뽑은 듯합니다 ^^"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8117_3736.jpg

여명 형님 뒤에서 바닷속을 지켜보는데 커다란 부시리 몇 마리가 온 바다를 휘젓고 있었네요. 다행히 제가 낚시하던 쪽에는 별로 없었는데, 형님 쪽에는 엄청 많아 보였습니다 ㅠㅜ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8174_55.jpg

철수 40분 전에 모든 낚시를 종료하고 청소를 시작했습니다. 양수기가 있으니 확실히 편했습니다. 살림통에 받아둔 물을 두레박으로 옮겨 밑밥토과 장비를 씻었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8233_5941.jpg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8245_537.jpg


낚시를 하던 자리도 말끔하게 정리했습니다. 허리 아프게 물을 퍼야 하는 부담이 없어서 그런지 훨씬 빠르고 깨끗하게 청소를 마칠 수 있었네요. 


낚시를 다니면서 양수기가 제일 필요한 갯바위는 아마 여서도 볼락개일 듯합니다. 두레박을 이용했다면 정말 시간이 오래 걸렸을 것 같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8332_3918.jpg

이날 최종 조과입니다. 


대상어인 벵에돔은 결국 세 마리 얼굴을 볼 수 있었습니다. 통통하게 오른 살집이 반가웠지만, 긴꼬리 벵에돔을 만나지 못해 내심 아쉬웠습니다. 


뉴페이스 호에 올라 돌아오는 1시간 30분 동안 여명 형님과 기절을 했네요;;;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8417_2703.jpg

완도항으로 돌아오는 시간에 맞춰 뉴페이스 낚시 사모님께서 커피를 준비해 주셨습니다. 출항 전 따뜻한 어묵, 철수 후의 따뜻한/시원한 음료수 모두 낚시인들의 상황을 잘 아는 뉴페이스 낚시의 세심함입니다. 


저는 이런 부분이 마음에 들어서 여서도를 찾을 때는 지금껏 뉴페이스 낚시만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2152cee91f06c49bd26d1db7f5030bc_1746328502_2531.jpg

인천으로 출발하기 전 따뜻한 해장국으로 속을 채웠습니다. 시원한 커피를 마시면서 달궈진 몸의 열기도 빼냈고요. 바로 출발해서 퇴근 시간 즈음 수도권에 들어가나, 좀 쉬었다가 나중에 출발하나 어차피 도착 시간은 비슷하다는 걸 잘 알고 있습니다. 


창원에서 완도까지 세 시간, 완도에서 인천까지 다섯 시간, 이날 모두 여덟 시간 운전을 했네요 ^^;; 운전 도중 제가 졸리지 않게 돌돔, 벵에돔 맛있게 먹고 있다는 여명 형님의 전화도 있었기에 크게 힘들지는 않았습니다. 



인천에서 이틀 동안 업무를 마친 뒤에는 거제로 내려갔습니다. 일요일에 진행된 쯔리겐 FG 거제지구 정출에 참석했네요. 대중교통 시간이 맞지 않아 이번에도 운전을 해서 내려갔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남은 연휴도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


https://blog.naver.com/williams0908/223854932985

2

좋은 글이라고 생각되시면 "추천(좋아요)"을 눌러주세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6 댓글
2 프로입문 25-05-06 12:14 1  
여서도갯바위는 항상준비된듯 대상어를 내어주네요. 항상안낚즐낚하세요.
13 울보미소 25-05-06 16:41 0  


안녕하세요, 또 뵙습니다. 울보미소입니다.

수온이 낮은 시기에도 여서도에는 정말 벵에돔이 많습니다. 바닥권에서 시원한 입질을 보여주었네요. 낮은 수심에서 입질이 들어왔다면 많은 마릿수를 보였을 듯합니다. 원도권이 가지는 매력은 이런 부분이 아닐까 생각하네요.

매번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연휴 잘 마무리 하시고 즐거운 한 주 보내시기 바랍니다! ^^"
6 돌돔대마왕 25-05-07 13:12 1  
조만간 여서도에 들어갈때 만나뵐수도 있으면 좋을거 같습니다~저희 동네 엉아들도 뉴페이스를 이용하여 여서도 들어가는데 따라가려고 대기중입니다~갈도에 긴꼬리나 뺀찌가 좀 나올까 싶어 선장님께 전화하니......수온 더 올라 적당할때까지 오지 말라네요;;;연락 줄테니 진득하니 기다리라는 답변을 들었읍니다;;올해는 6월이 윤달이 있어 그러한지 더욱 더 더디게 오르는 수온에 낚시인들 스트레스 풀기가 더 힘들어지는 올해입니다. 항상 안낚 하세요~
13 울보미소 25-05-07 20:05 0  


안녕하세요, 울보미소입니다.
""님도 여서도 출조 준비하고 계시군요 ^^"

여서도 정말 좋은 곳이죠. 예전에 비박(야영)이 가능할 때는 밤낚시하는 재미가 정말 좋았습니다. 물론 지금의 당일 낚시 출조도 즐겁지만, 낚시 시간이 짧아서 아쉬울 때가 가끔 있습니다. 민박이라도 가능하면 좋으련만 혅재 여서도 내 종선배를 운영하는 민박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네요 ㅠㅜ

지금 계신 곳에서 완도까지는 거리가 제법 있어 보입니다. 말씀처럼 마음 맞는 분들과의 동출이면 운전, 경비 면에서 부담이 줄 것 같네요. 기상 좋은 날 꼭 한 번 다녀오시길 바라겠습니다.

아직은 수온이 낮아 내만권 낚시가 더 유리해 보입니다. 아마 선장님도 비슷한 의미에서 말씀하신 게 아닌가 싶네요. 당장은 조금 아쉬워도 그렇게 솔직한 선장님이시면 나중에라도 꼭 한 번 찾아뵙고 싶어지겠네요 ^^"

요즘 한낮에는 많이 더운 걸 보니 곧 수온이 오를 듯합니다. 건강 관리 잘 하셔서 항상 안낚하세요!
59 폭주기관차 25-05-07 17:16 1  
수고 하셧습니다.
그리고 축하 드립니다.
아직은 불안정한 수온이 들쭉날쭉한
조황을 대신하나 봅니다.

그렇다고 지금시기 여서도가면
누구나 막 잡아내진 못하겟지요.^^&
 실력이 좋으셔서 잡아 내시는 것 입니다.

정성 가득한 장문의 조행기 잘 보았습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 많으셧네요
13 울보미소 25-05-07 20:12 0  


올해는 수온 상승이 더딘 편이라 아마 5월 중순 까지는 도깨비 조황이 이어질 것 같습니다. 전날 조황이 좋았다가, 다음날 저조하고......오전에 좋았다가 오후에 안 좋아지는 방식이 반복될 것 같아요.

주변의 이야기를 들어봐도 다들 어렵다는 얘기들이네요. 빵가루 미끼를 이용한 내만 벵에돔 낚시 정도를 제외하면 뾰족한 수가 보이질 않습니다.

몇 번 가보기는 했지만, 상대적으로 수온이 안정적인 원도권도 큰 차이는 없는 듯했습니다. 바닥권에서 겨우 겨우 한 마리 씩 이삭줍기하는 느낌이었어요. 낚시 잘 된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권하기도 좀 애매합니다 ㅠ

회원님도 오늘 하루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푹 쉬시면서 즐거운 저녁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