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안도(코바위) 감성돔 낚시

회원랭킹(월 글등록)


공지사항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낚시인 > 조행기

소안도(코바위) 감성돔 낚시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2255_5211.jpg

안녕하세요, 울보미소입니다. 


지난 조행기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저는 여태까지 물때(조류)보다 날씨에 초점을 두고 출조를 해왔습니다. 기상과 물때, 다 맞춰서 출조하기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일주일 전 소안도에서 하루 종일 움직이지 않는 조류를 경험하고 나서는 생각이 조금 바뀌었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4586_7246.jpg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4598_1799.jpg


일주일이 흐른 지난 월요일, 기상도 좋고 물때 또한 사리에 가까웠습니다. 지난 출조와 비교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생각에 다시 소안도로 향했습니다. 출조 전 여명 형님과 나눈 대화처럼 어찌 보면 "숙제, 나머지 공부"에 가까운 출조였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4669_9539.jpg

새벽 2시 30분까지 오라는 선장님의 말씀에 시간 맞춰 도착했더니 제가 제일 마지막이었습니다. 선장님과 반갑게 인사를 나누면서 말씀을 드렸습니다. 


저 : "사리 물때라서 조류가 너무 빠르지 않은 곳으로 부탁드립니다."


선장님 : 소안도는 사리 물때에 오히려 물이 느린 경우가 많다"


「멀리 큰 물이 세게 흐르면 내만인 소안도는 반대의 경우가 생긴다」라는 뜻의 말씀이었는데, 지난 주 상황이 떠오르며 조금은 의아하다는 생각을 하면서 남성항에 도착했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7152_9344.jpg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7163_5374.jpg


이날 선장님께서 추천해 주신 곳은 소안도 동편에 자리 잡은 "코바위"라는 곳이었습니다. 


지난번에 내렸던 "금강산" 자리에서 큰 씨알의 감성돔을 만나지 못해서 오히려 더 북쪽에 있는 코바위 자리가 반가웠습니다. 소안도는 추자도 등 원도권으로 가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어서 감성돔들이 본격적으로 움직였다면 벌써 4 짜 이상의 감성돔들이 많이 낚여야 합니다. 지난 출조에서도 그렇고, 최근까지 다른 낚시인들의 소안도 조황을 보더라도 큰 씨알의 감성돔을 보기 어려웠습니다. 


아직 고흥, 통영, 고성 내만권 등에 4 짜 감성돔들이 낚이는 조황을 생각해 본다면 예년보다 감성돔들의 이동이 2~3주 정도 늦어질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7321_6102.jpg

4시도 안 되는 이른 시간 갯바위에 하선했기 때문에 이번에도 밤낚시를 준비했습니다. 지난 "경남(창원) 낚시박람회"에서 구입한 하나파워 지누맥스 집어제를 "크릴 5장 + 감성돔 집어제 2봉"의 낚시점 밑밥에 추가했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7423_0101.jpg

하나파워 지누맥스 집어제는 아직 시판 전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오징어 어분(SLP)과 곡물류가 많이 들어간 집어제로 보였네요. 


크릴이 해동되면서 나오는 수분을 잡아줄 생각으로, 해수 첨가 없이 지누맥스 2/3봉을 추가하여 조금 단단하게 밑밥을 준비했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7497_0498.jpg

낚시를 시작하고 급하게 전자찌를 당겨가는 입질에 붕장어 한 마리가 올라왔네요. 주변이 깜깜한 새벽이라 달빛에 의지해 갯바위로 끌어올 때 놀라서 소리를 지를 뻔했습니다;;;


붕장어를 좋아하시는 여명 형님이 갑자기 생각났네요 ㅋㅋㅋㅋㅋㅋ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7566_1795.jpg

갯바위에서 5~10m 주변을 맴돌던 전자찌가 스멀스멀 잠겨서 챔질을 했더니 별다른 묵직함이 없었습니다. 움직임이 감성돔 비슷하긴 한데 씨알이 너무 작아서 긴가민가하고 있던 차에 작은 감성돔 한 마리가 올라왔네요. 


나중에 방생하기로 하고 일단 살림통에 담아 두었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7635_8907.jpg

밑밥이 어느 정도 들어가고, 채비도 적정 수심에 수렴하면서 바닥층 잡어들이 자주 올라왔습니다. 감성돔이 아니라서 아쉽지만, 쏨뱅이/돌우럭 같은 녀석들은 채비에 믿음을 가지게 하는 잡어들이죠 ^^;;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7692_9268.jpg

그리고 곧 그 믿음이 대상어로 연결되었습니다. 


아직 주변이 어둑어둑한 시간대에 또 한 번 전자찌를 끌고 들어가는 입질이 들어왔습니다. 좀 전에 낚였던 감성돔과는 확실히 다른 무게감에 30cm를 넘기는 감성돔이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첫 번째 녀석도 그렇고, 두 번째 녀석도 소안도 밤낚시에 처음으로 만난 감성돔들이었습니다. 여태껏 소안도에서는 밤낚시가 잘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보통 해가 떠오를 때 주간찌 채비로 낚시를 시작했거든요. 


최근에 해가 완전히 뜨고 나면 잡어들의 성황가 너무 심하고, 날씨가 금방 더워져서 체력이 빨리 저하되는 경험을 많이 했습니다. 그래서 올해부터는 갯바위에 하선하자마자 밤낚시를 하고 있습니다. 전자찌가 물속에 잠기며 빨간빛이 퍼지는 "눈맛"을 특히 좋아합니다 ^^"


채비는 피츠 트라이던트 GX 1.2호대, 원줄 강우코리아 스페셜 플로트 2.5호, 경기스페셜 목줄 1.5호, 나만의 수제찌 더멀리 1호(케미구멍 가공) & 흑단수중찌 1호, 감성돔 바늘 3호에 크릴 미끼를 사용했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7928_8492.jpg

이른 시간 감성돔을 만난 다음 저 멀리서 해가 떠오르고 있었습니다. 그 모습 자체도 장관에다가 대상어 두 마리를 낚아놓은 제 든든한 마음까지 더해져 정말 아름답게 느껴졌습니다 ^^"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497994_7148.jpg

주간찌 채비로 바꾸어 낚시를 해보았지만 아쉽게도 더 이상의 입질은 없었습니다. 조류의 흐름이 멈췄고, 무엇보다 정면에서 강하게 비추는 태양 때문에 낚시하기가 조금 피곤했습니다. 


원래 낚시를 했던 낮은 자리는 높아진 수위와 너울에 자리를 내주고 한 칸 위로 자리를 옮긴 상태였습니다. 낚인 감성돔은 낚시 자리 바로 V 꺾인 곳 기준 10m 이내 거리에서 모두 입질을 해주었네요.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4715_4066.jpg

준비해 온 이지밥 핫앤쿡 발열 도시락으로 아침을 먹었습니다. 무게가 가볍고, 나오는 쓰레기가 적어서 갯바위 낚시를 올 때 자주 챙겨옵니다. 


특히나 취사가 금지된 섬에서도 불을 피울 필요가 없어 정말 유용하며, 날씨가 쌀쌀해지는 겨울로 갈수록 발열 도시락의 진가가 발휘됩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4801_1869.jpg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4809_586.jpg

이날 하선했던 소안도 코바위의 주변 모습입니다. 


갯바위 발앞 수심은 5~6m, 멀게는 8~10m 정도였습니다. 왼쪽으로 갈수록 수심이 얕아졌고, 날물은 오른쪽으로 들물은 왼쪽으로 조류가 흘렀습니다. 상대적으로 들물 조류가 강한 편이었고, 만조가 되기 전에 배를 댄 오른쪽 갯바위로 넘어와야 했습니다. 


간/만조 물돌이 시간을 제외하면 조류가 원활한 곳이었습니다. 같은 자리가 아니라서 정확한 비교는 어렵지만 지난주보다 감성돔의 씨알이 나아진 이유 중 하나가 "조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5623_0439.jpg

식사 후 갯바위 주변을 살펴보니 생각보다 쓰레기가 많았습니다 ㅠㅜ


밑밥 봉투와 부러진 낚싯대까지 보였네요. 달량진 낚시에서 준비한 밑밥 봉투 겉면에 낚시인 이름이 크게 쓰여있던데, 어떤 생각으로 버리고 갔는지 궁금했네요. 밑밥 봉투와 부러진 낚싯대 모두 철수할 때 챙겼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5745_9829.jpg

이날 낚시를 가장 힘들게 했던 건 복어였습니다. 조류가 흐르다가 조금 완만해졌다 싶으면 바로 복어의 공격이 시작되었네요;;;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5799_4095.jpg

잡어가 많을 것 같다는 예상에 준비해 간 대체 미끼 번데기까지 복어의 입질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옥수수, 경단은 물론이고 번데기 미끼에도 복어 이빨 자국이 나는 걸 보고 한숨을 쉴 수 밖에 없었습니다 ㅠㅜ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5866_8186.jpg

물이 살아나길 기다렸다가 초들물이 시작되자 다시 낚싯대를 잡았습니다. 갯바위 앞으로 다가와 왼쪽으로 빠져나가는 빠른 들물을 노리기 위해 3호 구멍찌/순강수중찌 채비로 변경을 하고 최대한 멀리 채비를 던졌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5998_88.jpg

소안도에는 용치놀래기가 참 많은 듯합니다. 이날 올라온 녀석 중 하나는 입에 다른 바늘 하나를 달고 있었네요;;


씨알이 작아서 여에 터진 것 같지는 않았고, 다른 낚시인이 목줄을 잘라 방생한 것 같았습니다. 저 또한 최대한 짧게 목줄을 잘라 다시 바다로 돌려보냈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6087_3629.jpg

경단 미끼를 급하게 당겨갔던 쥐노래미입니다. 처음에는 작은 감성돔인 줄 알고 좋아했는데 뭔가 시커먼 녀석이 물 밖으로 모습을 드러냈네요. 


알을 밴 것인지, 밑밥을 많이 주워 먹은 것인지 배가 빵빵하게 불러온 쥐노래미 또한 곱게 바늘을 빼서 바다로 돌려보냈습니다. 쥐노래미의 금어기는 11월부터 12월까지 두 달간입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6183_1046.jpg

장판으로 변해버린 바다에 날씨까지 완벽해서 한두 마리의 감성돔은 더 낚일 것 같은 느낌에 계속 낚시를 해보았지만 감성돔의 입질을 없었습니다. 


강하게 다가오는 들물 조류에 맞춰 본류대 낚시를 해보았는데, 역시 소안도에서는 그 방법이 잘 통하지 않는 듯했습니다. 차라리 간출여가 있는 오른쪽 홈통 쪽으로 지류대 낚시를 해보았으면 하는 후회가 철수하면서 들었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6665_9304.jpg

만조 물돌이 시간이 지나고 초날물이 이어지면서 갯바위 정면을 노려봤습니다. 발앞 포말이 끝나는 쪽에 남은 밑밥을 넣고, 저부력 채비를 멀리 던져 가까이 끌고 오는 식으로 낚시를 이어갔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6731_1477.jpg

마지막까지 정말 열심히 낚시를 해봐도 복어, 용치 놀래기를 이길 수가 없었습니다. 지난주 소안도 "금강산" 자리보다는 조류가 강했지만, 순간적으로 조류가 약해질 때는 귀신같이 잡어들의 입질이 들어왔네요. 


미끼의 침강속도를 조절해 봐도 수심 전체에 복어가 깔린 듯했습니다. 이럴 때는 감성돔이 들어오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편이 맞는 것 같았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6840_7658.jpg

이른 시각에 감성돔 2마리가 낚일 때만 해도 '오늘 잘 하면 두 자릿수의 감성돔도 가능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역시 첫 끗발이 X끗발이네요 ㅠㅜ


만약에 밤낚시를 안 했다면 빈손으로 철수했을 것 같습니다. 다음에 소안도로 감성돔 낚시를 오게 된다면 무조건 밤낚시를 해야겠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8359_1858.jpg

작은 감성돔 한 마리는 다시 바다로 돌려보내고, 주변 정리를 마치니 저 멀리서 달량진 낚시 "영일 호"가 들어왔습니다. 


장판인 바다에 미끄러져 들어오는 철수배를 보며 조건이 점점 좋아지는 것 같아 못내 입맛을 다셨네요. 그렇지만 오후까지 낚시를 해본들 이런 상황에서는 감성돔 잡기가 힘들다는 것을 경험으로 잘 알고 있습니다. 


e5b93cb119f59797d7f3e8fb3b414847_1699508448_4043.jpg

3 짜 감성돔은 그렇게 창원으로 데려와 저녁 식사에 곁들였습니다. 아직 제철이 되지 않아 기름기가 조금 부족했지만 가족들과 맛있게 나눠 먹으며 이런저런 얘기를 나눴네요. 다음날 출근 때문에 반주 한 잔을 걸치지 못해 아쉬웠습니다;;



지난 "조금" 물때의 출조와 비교해 이번 출조에서는 비교적 원활한 조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감성돔 낚시에서는 확실히 조금보다는 사리를 전후한 물때에 출조를 잡는 것이 유리해 보였지만, 여명 형님의 말씀대로 진도권은 조류가 센 경우 뻘물이 일어 오히려 불리한 곳도 있다고 합니다. 선장님의 말씀처럼 소안도권은 사리 때 물이 느린 경우도 있다는 얘기를 들었고요. 


그래서 제가 지금까지 내린 결론은......


"조금보다 사리 때 물이 더 잘 간다", "내만권보다는 원도권의 조류가 더 원활하다", "들서날동(들물에는 주로 서쪽, 날물에는 주로 동쪽), "조금 때 오히려 홈통 부근에서 물이 잘 간다, 또는 사리 때 홈통 부근에서 물이 잘 가지 않는다" 등 여러 일반론이 있지만, 결국 지역과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는 겁니다. 


해당 지역으로 자주 출조해 본 낚시인의 조언을 받거나, 물길을 잘 아는 선장님의 조언을 받을 수 있다면 제일 좋을 것이고, 그것이 여의치 않다면 낚시인 스스로의 감으로 자리 선택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감은 많은 경험에서 온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기록한 내용으로 당연히 항상 들어맞는 정답은 아닐 것입니다. 또한 물때, 날씨 둘 다 맞춰가며 출조할 수 있는 낚시인들도 많지 않을 것입니다.(제가 아는 형님 한 분 제외......^^;;) 그래도 출조 날짜, 지역을 선택할 때 반영하실 수 있는 부분까지 최대한 참고하시면 조금이나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다음 출조는 내만권 감성돔 낚시 또는 여서도(거문도) 벵에돔 낚시를 가려고 합니다. 여서도, 거문도 권의 수온이 18˚ 부근으로 아직 긴꼬리 벵에돔 낚시를 하기에 적당하고, 감성돔들의 본격적인 이동이 시작되지 않아 준내만, 원도권 보다는 내만권에 감성돔 개체 수가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다음 출조일의 물때가 사리에 가깝다는 것도 잡어가 많은 내만권을 선택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이고요.(주말에 잡아둔 제주도 출조는 기상 예보가 좋지 않아 취소했습니다 ㅠㅜ)


이렇게 거창하게 얘기 해놓고 빈손으로 돌아올지도 모르겠지만, 다음에도 즐거운 조행기로 뵙겠습니다. 추워진 날씨에 건강 관리 잘 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williams0908/223258337480

2

좋은 글이라고 생각되시면 "추천(좋아요)"을 눌러주세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16 댓글
6 돌돔대마왕 23-11-09 16:02 0  
초보시절 바람적게불고 너울 많이 없으면 무적권 출조를 다녔습니다. 어느순간부터는 현지 선장님께 물때에 맞는 포인트 추천받아 아무생각없이 그냥 다닙니다. 미천한 낚시실력에 물어주면 좋고~안물면 고기가 없었다고 생각하며~~손맛과 입맛 두루두루 부러운 조행기 입니다~!!
13 울보미소 23-11-11 10:46 0  


저 역시도 비슷했습니다 ^^"

물때, 조류 상관없이 날씨만 괜찮으면 그냥 나섰습니다. 사실 날씨도 극복할 수 있다고 믿었던 시절이었습니다 ㅋㅋㅋㅋㅋㅋ 좋게 말하면 열정이었지만, 사실 경험이 부족했던 거죠.

지금은 나름 출조일, 출조지를 신중하게 정합니다. 그날의 포인트는 당연히 선장님께 부탁드리지만 그래도 조황, 물때, 기상을 종합해서 출조지를 선택 합니다. 잘 안 맞아 들어가는 경우도 물론 있지만 적어도 기상 때문에 조기 철수하거나, 후회를 남기지는 않고 있습니다.

님의 긍정적인 태도를 저도 배워야겠습니다. 부족한 제 글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축하합니다! 행운의 바늘에 당첨! 444점 적립되었습니다!

59 폭주기관차 23-11-09 19:11 0  
수고하셧습니다.
핫엔쿡 저두 가끔 이용하는데
맛은 별로지만 간편하게 한끼
해결하기엔 괜찮더군요.^^&

오히려 잘 모르던 시절 ~ 그냥 시간만 나면
달려가던 시절이 더 좋았는지도 모르겟네요.ㅎ
요즘엔 바람,물때.간조만조,여밭 등등 오만가지
생각으로 출조지 선정하니 머리가 더 아품니다.ㅎㅎㅎ

멋진 조행기 잘 보았네요
13 울보미소 23-11-11 11:23 0  


맛에 대한 아쉬움은 저도 조금 있습니다. 조금만 덜 자극적이었으면 좋겠어요 ^^" 그래도 취사가 금지된 곳이나 추운 겨울날 불 피울 필요 없이 따뜻한 음식을 먹을 수 있다는 점이 너무 좋네요!

요즘 저도 출조지를 선정하기가 신중해집니다. 열정이 엄청났던 예전에는 그냥 시간만 나면 바다로 달려갔는데요. 이게 경험이 쌓였다고 하는 게 맞을지, 열정이 식었다는 게 맞을지 고민이 될 정도입니다. 일단은......'낚시를 즐기는 방법이 다양해졌다' 이 정도로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주말 날씨가 많이 쌀쌀해졌네요. 조만간 수온도 제자리를 찾을 듯합니다. 제대로 된 감성돔 낚시의 계절이 오겠지요. 벌써부터 기대가 됩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항상 힘이 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1 파도치기 23-11-09 20:17 0  
잘보아읍니다 옛날  거제  서이말등대 간조에 쩍썰게 생각이 납니다 수고 했음다
13 울보미소 23-11-11 11:27 0  


안녕하세요, 울보미소입니다.

"쩍썰게"라면 간조에 드러난 갯바위의 홍합, 따개비 등을 부숴서 들물이 되면서 자연스러운 밑밥 효과를 가져오는 게 맞나요? 예전에 선배나, 낚시 서적에서만 봐오던 내용이라 생소하네요. 실제로 그런 낚시를 하셨으면 조력이 상당하실 듯합니다.

저도 개인적으로는 홍합, 따개비, 성게 같은 걸 말려서 가루로 낸 것이 최고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밑밥을 스스로 만들어 쓰던 낚시인들도 정말 많았잖아요 ^^"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시고, 항상 안낚하세요!!
13 케이토너 23-11-10 06:29 0  
조행기 잘봤습니다 낚시는늘 다녀올때마다 아쉬움이 있는듯해요~^^
13 울보미소 23-11-11 11:31 0  


출조 후의 그 "아쉬움"이 낚시인을 다시 바다로 이끄는 듯해요. '다음에 가면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은데......' 항상 이런 여운을 남기죠. 그러면서 조금씩 실력이 느는 것이기도 하고요.

출조와 출조 사이의 그 시간 동안 머릿속에는 온통 낚시로 채워져 있습니다. 어떨 때는 꿈에서도 낚시를 한 적도 있고요. 잘 반영되기 어렵긴 하지만, 하나라도 다음 낚시에서 맞아 들어갈 그때 낚시의 즐거움은 뭐라 말로 표현하지 못합니다 ^^"

쌀쌀한 주말, 건강 관리 유의하셔서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31 멧돌이 23-11-10 08:44 0  
복어를 2마리나 복 많이 받으시길!!!
13 울보미소 23-11-11 11:54 0  


이제 복은......그만 받고 싶습니닼ㅋㅋㅋㅋㅋ

조류가 죽으면 귀신같이 복어, 용치 놀래기가 물고 늘어지는 바람에 정말 낚시가 힘들었습니다. 졸복뿐만 아니라 밀복이라는 덩치 큰 복어들까지 같이 설치는 바람에 정말 힘든 낚시 했네요. 새벽에 2마리 잡아 놓지 않았으면 빈손으로 철수했을 듯합니다.

오늘 날씨가 많이 추워졌네요. 님 건강 관리 잘 하시고, 항상 제 글에 관심 가져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
24 감성6 23-11-10 09:26 0  
소안도를 그렇게도 다녔건만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내요..사리...ㅎㅎ

저만 쓰는줄 알았던 번데기를 쓰시내요?..ㅎㅎ 근데 요즘 잡어는 게미끼도 먹더라구요..

좋은 물때에 손맛은 살짝보시구 맛도 살짝히 보시고 즐거운 힐링이라고

생각하시면 참으로 기쁨이죠..오늘이 아니면 내일이 있듯이 또다시 다음을 기약하죠..

언제나 안낚하시고 터지더라도 대물하세요..ㅎㅎㅎ  조행기 잘봤음니다...
13 울보미소 23-11-11 15:11 0  


저도 선장님의 말씀을 듣고 조금 당황했네요. 사리면 무조건 물이 잘 간다고 생각했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니 그것도 지역에 따라 다르겠다는 것도 일리가 있더라고요. 1시간 가까이 배를 타고 나온 소안도도 원도권이 아니라 준내만에 속한다는 것을 잊고 있었습니다. 선장님께서 말씀하신 큰 물은 수업 시간에서나 배운 이름 있는 해류들이겠지요 ^^"

자주는 아니지만 저도 오래전부터 번데기를 대체 미끼로 사용했습니다. 요즘은 옥수수도 복어, 용치놀래기 앞에서는 얼마 버티지 못하더라고요. 노래미는 원래 옥수수를 좋아하고요. 게를 사용해본 적은 별로 없지만, 게들도 잡어들이 좋아하는 걸 보니 잡어들도 조금씩 적응을 하는가 봅니다 ㅠㅜ

다음 주 월/화 쉬긴 하는데 날씨가 어떨지 아직 모르겠네요. 날씨가 조금 좋아질 때 가까운 통영권으로 살짝 나가볼까 합니다. 님의 말씀처럼 출조는 언제나 즐거운 힐링이잖아요 ^^" 조과는 즐기다보면 따라오겠지요.

주말 날씨가 변덕을 부리네요. 아침 저녁으로는 꽤 쌀쌀합니다. 방한 잘 하셔서 출조하시길 기원 드립니다. 부족한 제 글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41 북회귀선 23-11-11 08:54 0  
감성돔이 언제 나올지 알수있다면
낚시가 많이 쉬워질텐데요.
그걸 알수가 없으니 꾸준하게 하는 방법외에
달리 방법이 없지 싶습니다.
그래도 초반에 두수하셨으니 꽝에 대한
부담은 없으셨지 싶습니다.
저도 초반에 한수 하고 나면
왠지 여유가 생기더군요. ㅋㅋ
즐감하고 갑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13 울보미소 23-11-11 15:18 0  


낚시인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기준에 맞춰 감성돔들이 움직여주면 참 좋을텐데, 이 녀석들의 마음을 참 알 수가 없습니다 ㅠㅜ 지난 번에는 하루 종일 입질이 없다가 철수 직전 몇 마리가 입질을 해주더니, 이번에는 새벽에만 입질을 하고 하루 종일 움직이지 않았네요.

아마 새벽에 조금 더 집중을 했다면 한두 마리 더 얼굴을 볼 수 있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음 출조에서는 내리자마자 초집중을 해서 낚시를 해야 할 숙제를 받았네요 ^^" 이래저래 피곤하게 하는 녀석들입니다.

조금 시간이 지나면 꽝에 익숙해야 할 감성돔 낚시지만 왠지 벌써부터 꽝이라면 조금 섭섭한 마음이 들 것도 같습니다 ㅋㅋㅋㅋㅋㅋ 아마 다음 주 월/화 정도에 한 번 가까운 곳으로 출조할 예정입니다.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하네요.

주말 잘 보내고 계시지요? 힘이 되는 좋은 말씀 항상 감사 드립니다!
1 통영직벽피싱 23-11-12 07:48 0  
재밋게 잘보았습니다.
사량도에 복 받으러오세요.
복어가 기다리고 있어요~^^
13 울보미소 23-11-12 09:27 1  


아침 저녁으로 날씨가 많이 추워졌던데 건강히 잘 지내고 계시지요? ^^" 주말 호조황 잘 보았습니다. 터질 듯 터질 듯 선장님과 낚시인들의 애만 태웠던 감성돔들이 제자리를 찾아온 듯합니다.

이미 받은 복이 많긴 한데......사량도 복도 한 번 받으러 가겠습니다ㅋㅋㅋㅋㅋㅋㅋ 항상 안전운행 하시고요!!!
 
b_hot_innakmall_200x80_240307.jpg b_hot_nios_200x80.gif b_hot_ggsusan_hongeu_160x100.gif b_hot_innakmall_200x80_211203.gif
포토 제목
 

인낚 최신글


인낚 최신댓글


온라인 문의 안내


월~금 : 9:00 ~ 18:00
토/일/공휴일 휴무
점심시간 : 12:00 ~ 13:00